• Jay
    • Profile
    • jay in press
    • Awards
  • Portfolio
    • By Theme >
      • Space Identity
      • Architecture
      • Branding
      • Culture
    • Selected Works
    • Recently Works
  • About
    • About us
    • Our Strength
  • Press
  • News
  • Contact
jay is working.
  • Jay
    • Profile
    • jay in press
    • Awards
  • Portfolio
    • By Theme >
      • Space Identity
      • Architecture
      • Branding
      • Culture
    • Selected Works
    • Recently Works
  • About
    • About us
    • Our Strength
  • Press
  • News
  • Contact

PORTFOLIO

Space Identity   Architecture   Branding   Culture

Red Mango

Feb 20, 2007
project outline
  • Location / 2F,3F, 60-8, Daehyun-dong, Seodaemun-gu, Seoul, Korea
  • Area / 230㎡
  • Completion / 2007.02
기존 red mango의 color scape적 저가형 디자인은 이번 renewal project에서 형태에 대한 단서를 주었다. 단순 면과 color signature에 의한 디자인은 프랜차이즈 사업에서 그 특유의 저 예산성으로 가맹점들의 환영 속에 탄생되어 있긴 하지만 그 수명의 짧음과 고급화 전략에 부흥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그 identity적 한계를 드러내고 만 것이다. 
결국 면 보다는 3차원적 형태가 공간적 성격과 힘을 강하게 드러낼 수 있다는 basic한 점, 선, 면의 조형원리로 우리는 시각을 돌려야 할 때이다. 일부에서는 200개가 넘는 가맹점의 경제적 이익과 수준을 이야기 하지만, 공간 내의 마감부위를 극소화 시키는 방법으로 어느 정도의 경제적 예산 차이는 상충시킬 수 있었다. 프랜차이즈 shop에서의 형태적, 공간적 접근은 장소성(각 동네 특성)과, 건축 임대 공간의 형태적 다양성으로 인하여 무척 접근하기 힘든 manual 작업인데, 그것의 계획론적 가능부위는 분석을 통하여 예측 가능해진다.
이러한 이론적 접근을 통하여 나온 것이 아래의 두 가지 큰 축인데, 첫째는 외부 signage공간 형태의 내부관입이고, 둘째는 스케치에서도 알 수 있는 요구르트의 형태적 특성을 반영한 이미지 월이다. 
2차원적인 외부 Signage는 이미 각인된 Red mango의 인지성에 힘을 받아 좀 더 과감한 형태적 Unit로 공간화 되어 내부로 이어지고, 이러한 'Red mango Unit'는 대, 중, 소로 각각 다양한 디멘션의 매장 외관 디자인에 통일적 Identity를 부여한다. Unit는 H=450, 750, 1000등으로 다양한 레벨로 실내에 관입하여 내부에서 chair, table, bar의 형태로 기능화되어 공간 속의 공간을 형태적으로 완성시킨다. 
레드망고의 BASE적 이미지인 '요거트아이스크림'을 각인시키는 부정형적 형태의 'Yoghurt Wall'은 내부의 조명과 함께 Display wall의 기능에서 bar 의 기능을 잇는 실내 공간의 중요한 하나의 축을 형성시킨다. 
이렇게 축이 엇갈리기도 하고 순응하기도 하는 2개의 형태가 내부의 어느 지점에서 만나게 되는데, 이들의 형태적 대비감은 재료에도 방향성을 같이하여 극대비로 인한 강조의 효과를 준다. 마감을 하지 않아 거친 느낌의 노출 콘크리트 벽면과 Red mango unit의 자연 친화적 목재의 라인, 그리고 광이 나는 코팅 도색에 빛까지 어우러진 매끈하고 유기적인 형태의 Yoghurt Wall의 깨끗함이 그 대비감을 확실히 강조하여 준다.
이러한 기본 design의 맥과 함께 문화적 아이콘을 실내의 곳곳에 형성시킴으로써 고급화 전략을 추구 하였는데, 토론방 및 갤러리 공간, 포토존, 각 종 아트 오브제 등을 이용하여 이전의 잠시 머물러 아이스크림을 맛보던 공간이 아닌 웰빙의 전체적 단계가 함께하는 long-stay and joy의 개념으로 그 발전 방향의 한 모습을 새롭게 제시 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국내 space identity의 경향은 경제성 우선 원칙이라는 명제 하에 그 시공의 용이성과 유지관리의 편의성 등을 디자인의 큰 주체로 다루었지만, 2007년 이후의 S.I manual design은 기능적인 편리성과 유지의 가능성은 기본으로 하고 진정한 identity를 형성하며 그 힘이 오래 갈 수 있는 공간적, 형태적 기본 축을 갖춘 디자인으로 바뀌고 있다. 이에 이전까지는 이원화 되었던 B.I(brand identity), signage 등도 공간디자인과 동시에 담당하며 로고의 tone & manner를 유지한 채 up-grade하고(이번 레드망고에서는 서체가 소문자체의 Variable Bold체를 기본으로 수정한 서체로 바뀌었음) 그로 인하여 발생되는 여러 application(메뉴보드, 메뉴판, 이미지모드 등)이 공간과 함께 어우러지도록 renewal하였다.

Navigate

Jay
About
Contact

Information

Portfolio
​Press
News

Social

Naver Blog
Facebook
​Instagram
Copyrights (c) 2019-2020 Jay is working. All rights is reserved.
Powered by EasyHome

  • Jay
    • Profile
    • jay in press
    • Awards
  • Portfolio
    • By Theme >
      • Space Identity
      • Architecture
      • Branding
      • Culture
    • Selected Works
    • Recently Works
  • About
    • About us
    • Our Strength
  • Press
  • News
  • Cont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