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y
    • Profile
    • jay in press
    • Awards
  • Portfolio
    • By Theme >
      • Space Identity
      • Architecture
      • Branding
      • Culture
    • Selected Works
    • Recently Works
  • About
    • About us
    • Our Strength
  • Press
  • News
  • Contact
jay is working.
  • Jay
    • Profile
    • jay in press
    • Awards
  • Portfolio
    • By Theme >
      • Space Identity
      • Architecture
      • Branding
      • Culture
    • Selected Works
    • Recently Works
  • About
    • About us
    • Our Strength
  • Press
  • News
  • Contact

PORTFOLIO

Space Identity   Architecture   Branding   Culture

MJ Dermatology Clinic

Aug 19, 2002
project outline
  • Location / 1165, Dunsan-dong, Seo-gu, Daejeon, Korea
  • Area / 426.7㎡
  • Completion / 2002.08
project summary
젊은 건축주들의 새로운 병원을 추구하는 MJ 피부과는 네이밍부터 인테리어디자인, C.I, 내,외부 사이니지 및 광고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통합적으로 진행된 브랜딩 마케팅 프로젝트였다. 
이에 초기 컨셉으로 잡은 ‘Milky & Juicy’ 라는 키워드를 시각적으로 형상화시키고, 이를 통한 각 부문별로의 사전 작업이 진행되었다. 실내 건축상 프로그램은 아래층 40평, 위층 110평의 절대적인 공간부피의 부조화속에서 진료 및 상담부분, 치료 및 관리부분, 에스테틱 부분의 3가지로 구분 지어지며, 매개공간을 사용하여 상호 호환성을 부여해야하는 이주 복잡한 양상을 가지게 되어, 조닝부터 상당한 고민을 안겨주었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공간 크기의 부조화가 층별로 다시 구분되어진 경우에는 주출입구를 110평 공간 즉 부피가 큰 공간에 두고, 작은공간(40평)은 부수적 기능을 수행하는 영역으로 계획하기 쉽다. 
하지만, 이들 3가지 영역의 기능성 연계성과 유사성을 검토해 본 결과 상담 및 진료 후 이루어지는 치료 및 에스테틱 부분과의 유기적 연결을 위하여 내부 계단의 배치가 불가피 하였다.매개 공간으로서의 역할과 시각의 공감각적 확장을 극대화 시키는 매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할 내부계단은 2층 천정의 보 모듈과 관련하여 2~3가지의 모델을 제시하게 되었는데, 그 중 아래층 주 대기공간에서의 뷰와 감동적 호기심 유발이라는 측면을 고려하여 상부 오픈형 직선계단안이 최종 확정되었다. 이로인해 오픈부위 슬라브의 철거와 함께 구조적 안전진단, 그리고 슬라브 보강 및 2층 바닥 보강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직선형 내부 계단은 그 특유의 확장적 공간 트임의 요소로 인해 아래층 (40평) 공간의 상대적 협소함이 자칫 병원의 첫 이미지로 작용하게 될 것을 우려하는 건축주를 설득하기에는 충분히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동시에 기존에 임대한 공간 부피의 단적인 부조화를 해결하기 위한 또 하나의 개념이 적용되었는데, 그것은 ‘ 동선의 의도적 연장’ 이었다. 흔히”동선은 짧을수록 효과적이다.” 라는 통념이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심리적, 시각적 즐거움을 배제한 극히 기능적 조사의 산물이라고 생각한다. 영화에서도 런닝 타임이 똑같이 1시간 30분이라 하더라도, 관객이 느끼는 시간(psychologic time)은 30분에서 3~4시간으로 다양해 질 수 있듯이 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심리적, 시각적 즐거움과 반대로 그 지루함을 고려한다면, 물리적인 동선의 거리가 의도적으로 연장된다 하더라도 이들이 느끼는 운동 거리는 더 짧게, 동시에 공간의 크기를 더 확장되게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이렇게 연장된 동선과 함께 진입->대기공간->진료실의 동선상 시선은 부정형적 매스들의 중첩으로 이루어져 있어 직선거리의 시원한 개방감보다 마치 작은 오솔길을 걷는 느낌을 받으며 확장되어 간다. 이는 3가지의 부정형적 매스를 서로 그 축(axis)을 달리하여 배치한 결과인데, 앞서 말한 동선의 의도적 연장 개념과 함께 본 설계에서 가장 주안점을 두었던 부분이다. 이러한 매스들은 외부로 개방되어있는 동쪽 창에서의 자연광을 받으며, 시간적 변화에 따라 빛에 대한 느낌과 그 실루엣이 시각적으로 달라 보일 수 있게 배치되었고, 진입과 진출 동선에서의 뷰가 그 형태적으로 매우 다르게 느껴질 수 있도록, 고저와 넓이가 다르게 계획되었다. 이래층에서 빛의 계단을 통하여 올라간 치료 및 에스테틱 부분은 계단 축에 순응하는 매스들의 직교적 배치와 중앙부에 위치한 갤러리 월의 사선적 배치가 대비되어 시각적 흐름과 동선을 유도한다. 또한 이 부분은 ‘Milky & Juicy’ 라는 그래픽적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최대한 강조할 수 있도록 면들의 중첩을 빛, 색과 함께 이용하였다.
각 치료실과 관리실의 침대 상부 천장에는 광원의 눈부심을 없애며, 2~3단계의 조도확보를 위하여 이중 천정이 계획 되었고, 곳곳에 눈에 띄는 art–wall과 color–wall 은 치료에 앞선 환자들의 불안감을 조금이라도 덜어주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계획하였다.

Navigate

Jay
About
Contact

Information

Portfolio
​Press
News

Social

Naver Blog
Facebook
​Instagram
Copyrights (c) 2019-2020 Jay is working. All rights is reserved.
Powered by EasyHome

  • Jay
    • Profile
    • jay in press
    • Awards
  • Portfolio
    • By Theme >
      • Space Identity
      • Architecture
      • Branding
      • Culture
    • Selected Works
    • Recently Works
  • About
    • About us
    • Our Strength
  • Press
  • News
  • Cont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