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plex House
Mar 15, 2012
project outline
- Location / 511-81, Sinhyeon-ri, Opo-eup, Gwangju-si, Gyeonggi-do, Korea
- Area / 429.79㎡
- Completion / 2012.03
project summary
사용자의 life style 이나 cycle에 맞추어진 생애 맞춤형 주택은 이미 여러 연구를 통하여 발표되어졌다. 경기도 광주시에 지어진 dup. house도 처음 프로그램을 적용할 때부터 이러한 다양성에 관한 조금은 복잡한 관계를 설정하고 그것을 공간적으로 풀어나가는데 그 목표가 있었다.
대지는 경사지의 남사면에 위치하며 맞은편에는 문형산의 끝자락이 펼쳐져있어 향과 조망이 일치하는 양호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를 적극 이용하여 남측입면 전체를 투명하게 열어줌으로서, 2층과 3층에서는 문형산의 풍경을 담고 1층은 마당과 온전히 연결된다.
남향으로 펼쳐진 view의 개방은 두 채가 비슷하게 열려있으며, 관입된 테라스도 공평하게 분배하였다.
집은 유연하게 연결된 하나의 커다란 외벽 고리①들이 연속성을 가지며 하나의 형태를 이루는데 사실은 2개의 복제된 집이다. 그래서 이 두 채를 한 채로 사용할 수도 있고, 나누어 각기 다른 세대가 살 수도 있고, 주말의 guest house 용도로 쓸 수도 있는 여러 가지의 공간 나누기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외벽 고리는 평평한 2차원의 형태가 아니라 3차원의 입체적인 고리형태로 디자인하여 2개의 집이 단순 복제가 아닌 각자의 공간감과 구성을 가진 집이 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복제된 두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중요한 장치가 코어기능을 하는 가운데 계단실인데 하부부터 그 void 규모를 넓혀서 계단의 역동성과 빛의 유입을 주도하며, 내부에서의 중요한 view를 형성시켰다. 그리고 남북으로 투명하게 개방하여 현관, 마당, 데크 등 외부공간이 실내를 관통하여 시각적으로 연결되도록 해준다.
이 계단실은 두 채를 하나로 연결하기도 분리하기도 하는데, 이로 인하여 수평적 연결도 가능하게 한다. 그래서 현재 시작은 한 세대의 넓은 공간으로 시작하지만 세월이 흐른 뒤 이 집의 반은 다른 가족과 공유할 수도 있고 자식세대와의 분리적 동거도 가능하다.
복제된 듯한 두 집이지만 하나의 형태로 읽혀질 수 있고, 내부공간끼리의 수직, 수평적 유기적 연결은 생애 맞춤형 주택의 새로운 시도가 될 수 있기를 바래본다.
대지는 경사지의 남사면에 위치하며 맞은편에는 문형산의 끝자락이 펼쳐져있어 향과 조망이 일치하는 양호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를 적극 이용하여 남측입면 전체를 투명하게 열어줌으로서, 2층과 3층에서는 문형산의 풍경을 담고 1층은 마당과 온전히 연결된다.
남향으로 펼쳐진 view의 개방은 두 채가 비슷하게 열려있으며, 관입된 테라스도 공평하게 분배하였다.
집은 유연하게 연결된 하나의 커다란 외벽 고리①들이 연속성을 가지며 하나의 형태를 이루는데 사실은 2개의 복제된 집이다. 그래서 이 두 채를 한 채로 사용할 수도 있고, 나누어 각기 다른 세대가 살 수도 있고, 주말의 guest house 용도로 쓸 수도 있는 여러 가지의 공간 나누기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외벽 고리는 평평한 2차원의 형태가 아니라 3차원의 입체적인 고리형태로 디자인하여 2개의 집이 단순 복제가 아닌 각자의 공간감과 구성을 가진 집이 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복제된 두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중요한 장치가 코어기능을 하는 가운데 계단실인데 하부부터 그 void 규모를 넓혀서 계단의 역동성과 빛의 유입을 주도하며, 내부에서의 중요한 view를 형성시켰다. 그리고 남북으로 투명하게 개방하여 현관, 마당, 데크 등 외부공간이 실내를 관통하여 시각적으로 연결되도록 해준다.
이 계단실은 두 채를 하나로 연결하기도 분리하기도 하는데, 이로 인하여 수평적 연결도 가능하게 한다. 그래서 현재 시작은 한 세대의 넓은 공간으로 시작하지만 세월이 흐른 뒤 이 집의 반은 다른 가족과 공유할 수도 있고 자식세대와의 분리적 동거도 가능하다.
복제된 듯한 두 집이지만 하나의 형태로 읽혀질 수 있고, 내부공간끼리의 수직, 수평적 유기적 연결은 생애 맞춤형 주택의 새로운 시도가 될 수 있기를 바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