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y
    • Profile
    • jay in press
    • Awards
  • Portfolio
    • By Theme >
      • Space Identity
      • Architecture
      • Branding
      • Culture
    • Selected Works
    • Recently Works
  • About
    • About us
    • Our Strength
  • Press
  • News
  • Contact
jay is working.
  • Jay
    • Profile
    • jay in press
    • Awards
  • Portfolio
    • By Theme >
      • Space Identity
      • Architecture
      • Branding
      • Culture
    • Selected Works
    • Recently Works
  • About
    • About us
    • Our Strength
  • Press
  • News
  • Contact

PORTFOLIO

Space Identity   Architecture   Branding   Culture

Dumare

Branding
Aug 20, 2009
project outline
  • Location / 2F, 283-3, Gumi-dong, Bundang-gu, Seongnam-si, Korea
  • Area / 714.43㎡
  • Completion / 2009.08
식음공간디자인 프로세스의 중심은 그 곳에서 나오는 음식에 있다. 두마레는 분당의 골안사 길 산자락 바로 밑에 위치한 한정식 집이다. 한식을 파는 공간, 한식의 세계화, 한 스타일... 의뢰를 받고 참 많은 생각이 자나갔다. 예전 런던의 AA School에서 승효상 선생님의 한국적 공간에 대한 이야기, 병산 서원에서의 추억, 파리 건축학교에서 한국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을 했을 때의 기억 등. 처음 시도하는 한국적 이야기이기에 좀 더 신중하고자, 좀 더 다른 시각으로 보고자 노력했던 프로젝트이다. 
우선 사이트가 50%를 주고 간다는 건축의 기본으로 돌아가 직사각형의 허공을 주방배치 이 후, 산 쪽 방향의 녹색 View point 지점으로 축을 갈랐다. 기존의 기다란 장축과 수직되는 시선의 축이며 디자인의 단초이다. 남향으로 배치된 건축 창에서 오후에는 남서각의 빛이 깊이 들어온다. 시선의 축과 함께 또 하나의 각도이다. 이와 함께 배치에서의 무엇을 한국적 풍수에서 찾으려 했으나 인테리어 디자인의 특성상 그 사유가 불분명해졌다. 사실 배치를 제외한 나머지 한국적 사유에 대한 부분은 목공 장인의 이야기이거나 삶의 단면을 보여주는 다분히 장식적인 요소이기에 현대 프로젝트에서 논리적으로 응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하여 우리 좌식 공간에 대한 그리고 한정식 집마다 항시 존재하는 ‘방’에 관한 또 다른 시각을 갖는 것으로 프로젝트의 방향을 잡았다. 
그림1에서 보듯 우리 한정식 집의 대부분의 방은 신발을 벗은 후 빗살문을 통과하여 전면에서 진입을 한다. 이로 인해 이 문에 대한 디자인이 중요시 되었고, 문 사이의 장식기둥(구조와 상관없는)이 한옥의 칸을 나누는 목구조를 은유하는 모양으로 설치되었으며 가끔은 가짜 기와지붕도 씌워지곤 한다. 이러한 진입의 문제를 대청과 방사이의 관계를 응용한 틔움과 직각유입(소극적 입구, 그림2) 방식으로 바꾸고 이를 통하여 전면의 매스감을 살려 공간 덩어리와 덩어리 사이의 관계를 통한 전체 디자인을 잡아가는 방식으로 평면 구성을 잡아나갔다. 
또한 방속에서의 景(경)을 중심으로 산, 이웃, 물의 순서로 잡아 방 내부에서의 다양한 공간적 경험을 중시하여 디자인 하였다. 이렇게 배치된 방은 산과 물을 향해 그리고 서로를 향해 열려있고, 이를 향하는 홀에는 천정 매스의 육중한 무게로 한옥 하늘의 경건함을 표현하고 사선의 힘에 대한 방향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한국의 전통에 대한 부분을 모든 사람들이 고민하고 되살리려하는 요즘에, 되려 소심하고 신중하게 방과 주변의 관계성부터 시작한 한국성에 대한 고민과 작업이, 앞으로는 좀 더 응용되고 발전될 수 있도록 다시 한 번 느끼고 공부해야겠다.

Navigate

Jay
About
Contact

Information

Portfolio
​Press
News

Social

Naver Blog
Facebook
​Instagram
Copyrights (c) 2019-2020 Jay is working. All rights is reserved.
Powered by EasyHome

  • Jay
    • Profile
    • jay in press
    • Awards
  • Portfolio
    • By Theme >
      • Space Identity
      • Architecture
      • Branding
      • Culture
    • Selected Works
    • Recently Works
  • About
    • About us
    • Our Strength
  • Press
  • News
  • Cont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