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ub Cambridge S.I
Oct 23, 2010
project outline
- Location / Hyundai KINTEX Department Store
- Area / 52㎡
- Completion / 2010.08
정통 브리티시 정장을 추구해온 캠브리지 맴버스는 그들의 옷뿐만 아니라 공간 내에서도 유럽의 고전미를 느낄 수 있게 디자인 하기를 원했다. 특히 영국의 고전을 매장 곳곳에서 보여줄 수 있기를 기대하였는데, 현대 디자인에서 영국이 갖고 있는 conceptual한 면보다는 visual한 정통의 재해석이 본 프로젝트의 방향으로 결정 되었다. 이는 shop design분야에서 Brand Identity와 연관된 하향적 한계점으로, 보다 성공적인 S.I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BI 단계에서부터 공간 디자인이 반드시 함께 구축되어야 함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장식의 배제라는 모던언어를 신앙처럼 따르던 jay is working에서 이번 프로젝트는 넘어야 할 또 다른 산이었다. 시작 단계부터 어떻게 하면 단순한 모방이 아닌 영국적 느낌을 그대로 살릴 수 있을까 고민 하였는데, 그것은 크게 classic – modern, heritage – contemporary, strict – freedom, royalty - multiracial 이란 이중적 코드로 분석되었다. 이것들은 표현적 측면에서 응용해 보면 classic한 background에 과감한 point–color, 격자로 paneling된 천정, 어둠 속 포커싱 조명, random한 형태의 액자 배치, 위트 있는 display, convex mirror 등을 통한 공간의 확장 등으로 정리될 수 있다. 그래서 아래 계획안에서 보듯 공간 속에 British unit을 끼워 넣는 “공간 속의 공간”의 안과 과장된 입구의 표현으로 관객을 내부로 끌어들이는 Path to the wardrobe안, 그리고 영국의 자유로운 컨셉을 정장의 display와 함께 표현한 Spatial measuring tape이 제안되었다. 이중. path안을 기능에 맞게 조절하고 중성화 시킨 code가 이번 완공 project이다. 기존의 비대칭적 공간 구조를 classic이 지향하는 대칭구조로 바꾸었고, image wall에서의 문양 개발과 classic module 개발 등이 공간적인 힘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정리되어갔다. 영국에서 볼 수 있는 전통적 door design을 캠브리지 맴버스의 문양과 함께 개발했고, classic module을 개발하여 천정과 수납 곳곳에 적용했다. 스텐드 행거의 작은 detail과 chess와 Union Jack의 재활용 그리고 탈의실 내부 그래픽도 세심하게 개발되었다. 현대화된 공간에 전통을 재해석 한다는 것은, 그 자체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 성공 포인트로 작용한다. 이를 개념적으로 재해석 하느냐, 표현적으로 재활용 하느냐는 건축주와 디자이너의 합의선상에 있지만, classic이 가지고 있는 장인정신의 계승은 이러한 전통을 표현하는데 언제나 근본으로 삼아야 하는 지침이 아닐까 생각한다.
장식의 배제라는 모던언어를 신앙처럼 따르던 jay is working에서 이번 프로젝트는 넘어야 할 또 다른 산이었다. 시작 단계부터 어떻게 하면 단순한 모방이 아닌 영국적 느낌을 그대로 살릴 수 있을까 고민 하였는데, 그것은 크게 classic – modern, heritage – contemporary, strict – freedom, royalty - multiracial 이란 이중적 코드로 분석되었다. 이것들은 표현적 측면에서 응용해 보면 classic한 background에 과감한 point–color, 격자로 paneling된 천정, 어둠 속 포커싱 조명, random한 형태의 액자 배치, 위트 있는 display, convex mirror 등을 통한 공간의 확장 등으로 정리될 수 있다. 그래서 아래 계획안에서 보듯 공간 속에 British unit을 끼워 넣는 “공간 속의 공간”의 안과 과장된 입구의 표현으로 관객을 내부로 끌어들이는 Path to the wardrobe안, 그리고 영국의 자유로운 컨셉을 정장의 display와 함께 표현한 Spatial measuring tape이 제안되었다. 이중. path안을 기능에 맞게 조절하고 중성화 시킨 code가 이번 완공 project이다. 기존의 비대칭적 공간 구조를 classic이 지향하는 대칭구조로 바꾸었고, image wall에서의 문양 개발과 classic module 개발 등이 공간적인 힘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정리되어갔다. 영국에서 볼 수 있는 전통적 door design을 캠브리지 맴버스의 문양과 함께 개발했고, classic module을 개발하여 천정과 수납 곳곳에 적용했다. 스텐드 행거의 작은 detail과 chess와 Union Jack의 재활용 그리고 탈의실 내부 그래픽도 세심하게 개발되었다. 현대화된 공간에 전통을 재해석 한다는 것은, 그 자체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 성공 포인트로 작용한다. 이를 개념적으로 재해석 하느냐, 표현적으로 재활용 하느냐는 건축주와 디자이너의 합의선상에 있지만, classic이 가지고 있는 장인정신의 계승은 이러한 전통을 표현하는데 언제나 근본으로 삼아야 하는 지침이 아닐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