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um Dental Clinic
Sep 22, 2006
project outline
- Location / 5F, Tongyoung-building ,1318-2, Seocho-4dong, Seocho-gu, Seoul, Korea
- Area / 200㎡
- Completion / 2006.09
흔히 clinic interior는 전문 디자인을 필요로 한다고 하지만 사실 공간을 디자인하는 데의 핵심은 그 공간에 담겨질 사람과 기능에 관한 일이다. 이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는 디자이너라면 비록 병원에 대한 경험이 없더라도 clinic의 특수기능과 각종 설비, 동선 등을 쉽게 풀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열거한 것들의 기본적 해결을 디자인의 모두인 것처럼 얘기할 수도 있지만 이는 눈에 보이는, 즉, 객관화된 사실로써 공간 쪽 전문가가 아닌 아마추어라도 원활한 communication만 행하면 채워질 수 있는 부분이다. 흔히 치과는 교정, 보철, 소아, 일반 등으로 분리되어 매우 세분화되어가고 있지만 그 기본이 되는 기능-UNIT, 상담, X-RAY, SERVICE AREA는 공통사항이다. 이에 치과전문 디자인회사가 생겨나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현상은 디자인적인 부분보다는 사업(business)적 측면이 강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로 인하여 공간전문가가 아닌 의료 쪽 CONSULTANT나 이와 관계된 사람들이 그 기능을 놓고 마치 디자인 디렉터인 양 하나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이는 우리 디자이너 모두가 경계해야할 일이고, 또 반성해야할 부분이라 하겠다.
이번 서울 바름치과 프로젝트는 위의 교정치과 공간의 기본적 기능의 해결과 함께 부정교합을 포함한 치열교정의 원리적 현상을 은유하는 데 그 디자인의 핵심이 있다. 교정치과 특유의 ZONING인 UNIT ZONE과 SERVE 및 CONSULTING ZONE 사이의 1200-1500의 복도 라인이 이번에도 디자인의 핵심요소이다. 이에 SERVE ZONE의 벽체를 부정형으로 해체시켰고, 그로 인해 각 실에서 y축적 개방을 느낄 수 있다.
이와 함께 UNIT ZONE의 수납 모듈이 교정 이후의 가지런한 모습으로 전체 공간을 꽉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코팅된 철판을 접어 사용하며 WHITE 톤과의 balance를 유지하게 하였다.
상담 및 각 실은 천정고를 H:2100~H:2500으로 Z축으로 기울여 대화의 방향성을 강조하며 친근감을 더하였다. UNIT ZONE에 항상 존재하는 partition은 라디에이터 속부터 구조체를 들여서 허공에 붕 떠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주어 High tech image를 형성하게 하고, 시야를 H:1200 이상만이 아니라 ∓0~∓500까지 하단부로의 확장을 도모하였다.
내부 super graphic의 경우, X-RAY로 촬영된 치아의 모습을 유리타일로 만들어 전체적인 color balance를 맞추는 art-wall역할을 할 수 있게 하였다.
재료적인 측면을 이야기하자면, 전체적으로 반짝이는 WHITE STONE 속에 거친 느낌의 코팅 철판은 그 무게적, 재질적 측면에서 balance와 metaphor를 잘 수행하여 주었다고 생각한다. 각 실 내부는 자작나무 합판과 벽체를 이용하여 외부의 Hightech적 분위기와 또 다른 대비를 꾀하였다.
이번 서울 바름치과 프로젝트는 위의 교정치과 공간의 기본적 기능의 해결과 함께 부정교합을 포함한 치열교정의 원리적 현상을 은유하는 데 그 디자인의 핵심이 있다. 교정치과 특유의 ZONING인 UNIT ZONE과 SERVE 및 CONSULTING ZONE 사이의 1200-1500의 복도 라인이 이번에도 디자인의 핵심요소이다. 이에 SERVE ZONE의 벽체를 부정형으로 해체시켰고, 그로 인해 각 실에서 y축적 개방을 느낄 수 있다.
이와 함께 UNIT ZONE의 수납 모듈이 교정 이후의 가지런한 모습으로 전체 공간을 꽉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코팅된 철판을 접어 사용하며 WHITE 톤과의 balance를 유지하게 하였다.
상담 및 각 실은 천정고를 H:2100~H:2500으로 Z축으로 기울여 대화의 방향성을 강조하며 친근감을 더하였다. UNIT ZONE에 항상 존재하는 partition은 라디에이터 속부터 구조체를 들여서 허공에 붕 떠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주어 High tech image를 형성하게 하고, 시야를 H:1200 이상만이 아니라 ∓0~∓500까지 하단부로의 확장을 도모하였다.
내부 super graphic의 경우, X-RAY로 촬영된 치아의 모습을 유리타일로 만들어 전체적인 color balance를 맞추는 art-wall역할을 할 수 있게 하였다.
재료적인 측면을 이야기하자면, 전체적으로 반짝이는 WHITE STONE 속에 거친 느낌의 코팅 철판은 그 무게적, 재질적 측면에서 balance와 metaphor를 잘 수행하여 주었다고 생각한다. 각 실 내부는 자작나무 합판과 벽체를 이용하여 외부의 Hightech적 분위기와 또 다른 대비를 꾀하였다.